스마트스토어 부업/창업 준비하기
1. 쇼핑몰 개설
(1)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를 만든다.
스마트스토어는 네이버에서 지원하는 쇼핑몰 플랫폼이다.
사업자를 내지 않아도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만들 수 있어 처음 쇼핑몰 창업을 시작하기에 아주 좋은 쇼핑몰 플랫폼이다.
스마트스토어는 스마트스토어센터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판매자 가입하기"를 눌러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스마트 스토어 가입 시 정보 입력란에 기재할 부분을 미리 생각해두고 가입하자.
1. 스마트스토어 이름 (1~14자 한글, 영문 대소문자, 숫자 기입 가능)
네이버 검색 시 검색어로도 활용되며, 가입 후 1회 수정 가능합니다.
2. 스마트스토어 URL (2~30자 영문 소문자, 숫자, 특수문자(-,_)가능)
https://smartstore.naver.com/ 뒤에 사용하실 스토어 고유의 주소이며, 가입 후 수정 불가능합니다.
3. 소개글 (50자 내외로 입력)
스토어 메인 화면 및 네이버 검색 결과 사이트 설명 글에 활용되며, 항시 수정 가능합니다.
4. 고객센터 전화번호
고객센터 전화번호는 스토어 프로필과 하단영역에 상시노출되며 구매자의 주문내역에 노출됩니다.
스마트스토어센터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만드는 스마트스토어에서 내 가게를 만들어보세요.
sell.smartstore.naver.com
2. 판매할 상품 찾기
1. 사입
직접 물건을 국내 또는 해외에서 소량~대량 가져와서 판매하는 것.
포장, 배송, 검품을 직접 할 수 있음.
가격 정책에 자유로움.
직접 공장에서 물건을 가져오면 훨씬 저렴한 가격에 판매가 가능함.
유통과정이 줄어들기 때문에 마진도 많이 남음.
(공장 -> 나 -> 고객)
2. 국내 위탁판매
국내 B2B 사이트 - 도매꾹, 오너클랜 등
공급자 가격으로 제품 구매 가능.
도매매 - 이 B2B 사이트는 주문 시 구매자 편으로 배송까지 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함. (*사업자등록 필수)
*도매꾹, 도매매 같은 국내 B2B 시장은 대부분 중국 도매 시장에서 가져온 제품을 파는 것임.
(공장 -> 수입자 -> 사장(우리) -> 고객)
최대 마진을 노린다면 중간 유통과정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해외 시장을 통해 시작해야한다.
3. 구매대행
무자본 창업으로 시작하기에 아주 좋은 루트이다.
알리바바(alibaba.com)와 같은 중국 B2B 사이트 혹은 쇼핑사이트에서 원하는 제품을 찾아 올린 뒤 주문이 들어오면 해외에 바로 오더를 넣고 국내 구매자 주소 편으로 발송하는 것.
중국인 셀러가 해외배송을 모를 경우 중국에 사업장을 둔 '배송 대행지'에 가입하여 중국 셀러에게 그 주소편으로 보내달라고 한 뒤 배송대행지에 국내편으로 보내달라고 하면 됨.
alibaba.com은 한두개 주문은 어려움, 통상적으로 수십개에서 수백개를 구매함.
소매로 구입을 원할 경우 taobao.com 이나 tmall.com 등을 통해서 진행하면됨.
3. 상품 업로드
상품 업로드는 양식과 공식에 맞게만 적용하면 된다.
상품명을 선택할때 "네이버 광고 키워드 도구"에서 키워드 검색 시 관련 정보를 찾아볼 수 있다.
사람들이 해당 상품명을 얼마나 검색하는지 보고 경쟁업체도 얼마나 있는지 확인해야한다.
상품 페이지를 디자인하여 어필하기.
포토샵 사용이 어려운 경우 미리캔버스, 망고보드 디자인 플랫폼을 사용하면 쉽다.
4. 판매
5. 마케팅
스마트스토어를 시작하기 전에 어떤 상품을 판매할지 먼저 정해야 한다.
처음에는 개인판매자로 시작하여 일정 수입이 발생할 경우 사업자로 돌리면 된다.
스마트스토어 수수료 안내
스토어 개설/상품 등록/판매 수수료 : 무료
네이버쇼핑 매출연동수수료 (VAT 포함) : 2%
네이버페이 주문관리 수수료 (VAT 포함) :
영세 (연 매출 3억원 이하) : 2.2%
중소1 (연 매출 3~5억원) : 2.75%
중소2 (연 매출 5~10억원) : 2.86%
중소3 (연 매출 10~30억원) : 3.08%
일반 (연 매출 30억원 이상) : 3.63%
'기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료 코딩교육, 앱개발 강의 신청 / [HRD-Net] K-Digital Credit(K-디지털 크레딧) (0) | 2021.12.01 |
---|---|
티스토리 블로그 시작하기 - 키워드 찾기 (0) | 2021.11.03 |
댓글